민선8기 공 약 & 매 니 페 스 토

세계로 웅비하는 대도약! 전남 행복시대, 도민과 함께 만들어가겠습니다.

‘해양쓰레기 제로화’ 팔걷은 전남, 국가차원 지원 절실

공약관리번호 공약 3-2-3
공약 이름 수산자원 조성 및 해양환경 정비
링크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103001071027104001
언론사 문화일보
보도일자 2020-10-30
전남도가 안전한 수산물 생산과 해양관광에 걸림돌이 되는 해양 쓰레기의 ‘제로(zero)화’를 위해 3년 연속 연간 발생량보다 많은 양을 수거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섰다. 다만, 외국 및 타 지역에서 유입되는 해양 쓰레기가 많아 수거·처리비용에 대한 국고 지원 확대가 절실한 상황이다.

30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에서 발생하는 해양 쓰레기의 양은 2018년 10월 마무리된 용역 결과 연평균 2만6713t으로 추산됐다. 이에 비해 연간 수거·처리량은 평균 2만2280t으로 발생량에 크게 못 미치다 보니 해마다 해저 등에 누적돼온 해양 쓰레기는 8만7482t에 달한다. ‘제로화’를 달성하려면 해마다 발생하는 해양 쓰레기를 당해연도에 치우는 것은 물론이고 누적된 8만7482t까지 차근차근 줄여나가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전남도는 이에 따라 2018년 3만2618t에 이어 2019년 3만1704t을 수거·처리하는 등 발생 추정치보다 많은 양을 수거했다. 이 같은 전남의 수거·처리량은 전국의 30%가량을 차지한다. 도는 올 들어서도 9월까지 2만9772t을 수거했고, 연말까지 3만6000여t을 수거할 계획이다. 도는 앞으로도 계속 연간 수거·처리량을 발생량보다 늘릴 경우 수년 내에 해양 쓰레기 제로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는 특히 해양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기 위해 내년부터 4년간 100억 원을 들여 트랙터, 비치클리너 등 장비 100대를 구입해 도내 해안에 보급한다. 또 폐(廢)스티로폼 부표를 50분의 1~70분의 1로 압축해 재활용할 수 있는 ‘감용기’를 5대 추가 보급한다.

다만, 도는 외국에서 유입되고 광역적으로 이동하는 해양 쓰레기가 많아 애로를 겪고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수거·처리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예산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도는 지적했다. 현재는 균형발전특별회계에서 50%, 지방비에서 50% 충당하고 있으나 일반 국고에서 70%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환경부의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사업’은 일반 국고에서 70% 지원되고 있다.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