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메뉴 보기

보도자료

HOME > 도정소식 > 보도자료

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전남도,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 주의 당부

작성일 2020-07-24
전남도, 여름철 ‘야생버섯 섭취’ 주의 당부 【산림자원연구소】 338-4254
-식용버섯과 닮은 독버섯…소량 섭취도 인체 치명적-

전남산림자원연구소는 여름철 야생버섯의 무분별한 채집과 섭취로 중독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국내에는 총 1천 900여종의 버섯이 자생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중 섭취할 수 있는 버섯은 약 400여종으로 21%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독버섯이거나 식용가치가 없다.

해마다 야생 독버섯 섭취로 인한 사고가 7월부터 10월 사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산림청 조사결과에서도 지난 2012부터 2016년까지 독버섯 섭취로 인해 총 75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7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독사고는 주로 식용버섯과 비슷한 겉모습의 독버섯을 섭취하거나 버섯의 식용여부에 대한 잘못된 상식으로 인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식용버섯과 비슷한 독버섯으로는 ▲개암버섯(식용)과 노란다발버섯(독)’ ▲달걀버섯(식용)과 광대버섯(독) ▲영지버섯(식용)과 붉은사슴뿔버섯(독) 등이 대표적이다.

이와 함께 버섯 식용에 대한 잘못된 상식으로 ▲색이 화려한 것은 독버섯, 하얀 것은 식용버섯 ▲버섯이 세로로 찢어지면 식용버섯 ▲벌레가 먹은 것은 식용버섯 등이 있다.

버섯의 겉모습만 보고 독성 유무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므로 섭취 전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거나 ‘독버섯 바로알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김재광 전남산림자원연구소장은 “야생버섯은 되도록 섭취를 삼가고 만약 야생버섯 섭취 후 메스꺼움, 구토 등 중독증상이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에 버섯을 들고 방문해 치료받아야 한다”며 “표고꽃송이목이버섯 등 농가에서 재배한 버섯을 구입해 드시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고 말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의견등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