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메뉴 보기

보도자료

HOME > 도정소식 > 보도자료

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전남 도자산업, 공예 넘어 세라믹산업으로 확장한다

작성일 2023-12-21 담당부서 문화산업과
전남 도자산업, 공예 넘어 세라믹산업으로 확장한다
- 21일 혁신성장 정책 포럼, 경쟁력 제고·발전 방안 등 논의 -
【문화산업과장 김성원 286-5460, 문화산업팀장 김동욱 286-5470】

(전남 도자산업 혁신성장 정책 포럼 사진 2장 첨부)
전라남도는 21일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전남 도자산업 혁신성장 정책 포럼을 개최하고 도자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세라믹까지의 확장을 통한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전남 도자산업 혁신성장 정책 포럼에는 전통 도자 및 세라믹 산업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주제발표와 종합토론 등이 진행됐다.

주제 발표에선 김철우 전남대 교수의 ‘케이(K)-컬처(한류)의 원형으로서의 전남 도자기 가치와 경쟁력 제고 방안’, 이상진 목포대 교수의 ‘케이-세라믹과 케이-도자의 상생을 위한 추진 과제’가 진행됐다.

이들은 전남 도자의 가치 조명과 세계적 도자 중심지 도약을 위한 연구 개발(R&D) 투자, 교육, 전통 세라믹과 파인세라믹 분야 투 트랙 육성 방안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진 종합토론에는 허준 동덕여대 미래융합학부 교수를 좌장으로 김수원 문화체육관광부 전통문화과장, 손신욱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정책연구실 연구원, 이창재 여수관광마이스협회 사무국장이 패널로 참여했다.

토론에선 세라믹 산업으로 확정 가능성 및 도자 세라믹 기업의 참여 증대 방안, 전남 도자&세라믹 산업 엑스포 개최 타당성 등에 관한 열띤 논의가 진행됐다.

전남도는 이번 포럼에서 나온 의견을 통해 목포·강진·영암·무안을 중심으로 한 전국 최대 생활도자클러스터, 세라믹종합지원센터 등 보유 자원을 활용한 도자산업 육성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다.

박우육 전남도 문화융성국장은 “전남 도자산업의 미래를 위해 관련 엑스포 개최 등 다양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며 “기술력이 곧 경쟁력인 시대에 지역의 전통문화산업, 미래 세라믹산업의 혁신을 위해 지자체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의 강력한 지원 역시 절실하다”고 말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의견등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