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메뉴 보기

보도자료

HOME > 도정소식 > 보도자료

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국내 유일 영광 ‘이-모빌리티 엑스포’ 개막

작성일 2023-10-06 담당부서 신성장산업과
국내 유일 영광 ‘이-모빌리티 엑스포’ 개막
- 9일까지 전시·학술행사·수출상담회·할인판매 등 다채 -
- 해외 30개국 기업·주한대사 참석…해외시장 개척 발판 -
- 지식산업센터도 개관…입주기업, 시제품·인증평가 등 지원 -
【신성장산업과장 조재웅 286-3910, 미래형자동차팀장 김범석 286-3940】

(영광 이모빌리티엑스포 개막식과 영광지식산업센터 개관식 사진 4장 첨부)
전라남도는 6일 영광 지식산업센터 일원에서 이(e)-모빌리티의 미래 첨단 신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유일의 2023 이-모빌리티 엑스포를 개막했다.

개막식에는 김영록 전남도지사, 이개호 국회의원, 영광군수, 업계 대표 등 1천여 명이 참석해 엑스포의 성공 개최를 기원했다.

‘미래로 도약하는 슬기로운 이동수단, e-모빌리티’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엑스포는 오는 9일까지 전시·시승, 학술행사, 수출상담회, 할인판매 등 다양한 부대행사와 함께 치러진다.

특히 올해는 참가 규모가 지난해보다 25% 이상 확대됐다. 온라인 방송과 연계한 실시간 온라인 제품 판매(라이브 커머스), PR쇼도 함께 진행된다. 또한 20개 나라 이상 해외 바이어와 온·오프라인 수출상담회도 운영된다.

루마니아, 나이지리아 등 주한 외국대사를 초청해 글로벌 연대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함으로써 기존의 산업 엑스포를 뛰어넘어 국내 최대 이-모빌리티 마케팅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관에서는 국내외 200여 기업이 참가해 최첨단 기술이 융합된 초소형전기차, 농업용 전동차, 전기이륜차, 개인형 이동수단(PM) 뿐만 아니라 충전설비, 배터리 등을 선보인다. 할인행사(블랙데이 이벤트·30%~50% 할인) 경품추첨 등도 함께 운영된다.

또한 이-모빌리티를 직접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대학생 스마트 이-모빌리티 경진대회,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가상현실(VR)체험, 시승체험, 거리 퍼레이드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선보여 생소했던 이-모빌리티에 대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록 지사는 “영광 이-모빌리티 엑스포가 대한민국 모빌리티 산업의 위상을 높이고 미래 첨단전략산업을 선도할 뿐만 아니라 영광 대마산단이 이-모빌리티 산업의 핵심거점이자 미래자동차 산업 허브도시로 성장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미래자동차 산업 육성을 위해 중앙정부와 함께 연구개발, 기업 지원, 판로 개척 등 다양한 지원정책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선 지난 7월부터 운영을 시작한 지식산업센터 개관식도 함께 진행됐다.

지식산업센터 입주기업에는 시제품 제작, 인증평가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져, 기업 활동 여건 개선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도는 2014년 이-모빌리티 연구센터를 시작으로 대규모 국가 연구개발(R&D)·실증 및 실외성능시험장, 초소형 이-모빌리티 부품 시생산 지원 기반 등 산업 기반시설을 하나하나 구축하고 있다. 제품 개발부터 인증·제작에 이르기까지 전주기 지원체계를 갖춤으로써 이-모빌리티 산업의 선두주자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 사진 설명
(영광 이모빌리티엑스포 개막식 1)
2023 영광 이-모빌리티 엑스포 개막식이 6일 오전 영광군 대마전기자동차 산업단지에서 열린 가운데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를 비롯해 강종만 영광군수 등 주요 내빈들이 개막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영광 이모빌리티엑스포 개막식 2)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6일 오전 영광군 대마전기자동차 산업단지에서 열린 2023 영광 이-모빌리티 엑스포 개막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영광 이모빌리티엑스포 개막식 3)
김영록 전라남도지사가 6일 오전 영광 대마전기자동차 산업단지에서 열린 2023 영광 이-모빌리티 엑스포 개막식에 참석, 전시관에서 전기차 시승 체험을 하고 있다.

(영광지식산업센터 개관식)
김영록 전라남도지사와 주요 내빈들이 6일 오전 영광 대마전기자동차 산업단지에서 열린 영광지식산업센터 개관식에서 개관 테이프를 자르고 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의견등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