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메뉴 보기

보도자료

HOME > 도정소식 > 보도자료

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전남도, 폭염 장기화 따른 도민 안전 비상체계 가동

작성일 2023-08-03 담당부서 자연재난과
전남도, 폭염 장기화 따른 도민 안전 비상체계 가동
-7월 25일부터 폭염경보 지속…취약계층 집중 관리 나서 -
【자연재난과장 송광민 286-3710, 자연재난관리팀장 이군행 286-3720】

(폭염대책- 살수차 사진 1장 첨부)
전라남도가 폭염 장기화에 따른 도민 안전을 위해 지난 2일 김영록 지사의 지시로 재난예비비 63억 원을 긴급 편성해 시군에 지원한데 이어 3일부터 폭염 대응 비상 1단계를 가동, 취약계층 집중 관리에 나섰다.

전남지역은 지난 6월 19일 올 들어 첫 폭염주의보가 내려졌고, 특히 7월 25일부터 이날 현재까지 22개 시군에 폭염경보가 지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남에선 온열질환자 80명이 발생하고, 가축 피해는 10개 시군 1만 656마리로, 피해액이 5천900만 원으로 추정된다.

전남도는 지난 5월 2023년 폭염 대응 종합계획을 수립, 9월 30일까지를 폭염대책 기간으로 정해 폭염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특히 이날부터 독거노인, 노숙자 등 사회취약계층, 공사장 야외근로자, 고령 농업인 등 폭염 3대 취약 분야 집중관리 및 점검을 강화했다.

취약계층 안전을 위해 생활지원사 등 재난도우미 2만 4천여 명을 지정해 1일 1회 이상 방문과 전화를 통해 안부를 확인하고 있다.

또한 농수축산물 재산피해 최소화를 위해 분야별 사업장 관리반을 운영하고, 실시간 피해상황 확인 및 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온열질환 발생과 관련해선 온열질환 응급실(44개소) 감시체계 구축, 119폭염구급대(구급차 129대·구급대원 990) 운영 등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신속한 이송 및 관리체계를 갖추고 있다.

김신남 전남도 도민안전실장은 “온열질환자 대부분이 실외 작업장이나 논밭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실외 작업 시 폭염 절정 시간대인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작업을 자제하고 부득이한 경우 충분한 수분과 휴식을 취할 것”을 당부했다. 이어 “강화된 폭염대책 추진으로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전남도는 김영록 지사가 지난 1일 폭염대응 긴급 대책회의를 소집해 도민피해 최소화를 위한 비상 대응태세 유지를 지시, 경로당 냉방비와 축산농가 고온스트레스 완화제 보급, 양식어가 액화산소공급기를 비롯한 고수온 대응장비 지원 등 폭염대응 재난예비비 63억 원을 긴급 편성해 시군에 지원했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의견등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