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메뉴 보기

보도자료

HOME > 도정소식 > 보도자료

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이 지사,‘가고 싶은 섬’구상에 휴일도 반납

작성일 2015-01-04
이 지사,‘가고 싶은 섬’구상에 휴일도 반납【해양항만과】286-6860
-여수시 상․하화도, 사도․낭도, 둔병도, 보성 장도, 강진 가우도 등 잇단 방문-

이낙연 전라남도지사가 새해 들어 주말․휴일도 반납한 채 ‘가고 싶은 섬’ 가꾸기 브랜드시책 추진을 위한 섬 현장 방문을 이어가고 있다.

이 지사는 지난해 11월 여수 금오도 비렁길을 시작으로 12월 여수 여자도와 신안 비금․도초․우이․신의․장산도 등 7개 섬을 방문한데 이어 3일 여수 화정면의 상․하화도, 사도, 낭도, 둔병도를, 4일 보성 장도와 강진 가우도를 잇따라 둘러봤다.

상화도와 하화도는 동백, 진달래, 섬모초 등 야생화가 섬 전체에 만발해 ‘꽃섬’이라 불린다. 이순신 장군이 항해를 하다 꽃들이 많아 명명했다는 설도 있다.

사도와 낭도는 공룡화석발자국으로 유명하다. 사도 내에 있는 추도는 84m에 이르는 세계 최장의 공룡 보행렬이 있다. 둔병도는 마을 앞에 명주실 한 타래가 다 들어가도록 깊은 ‘용굴’ 둠벙(웅덩이)이 있어 둔병이라 했다는 전설을 간직한 섬이다.

보성 장도는 벌교천과 여자만을 이어주는 곳에 위치해 있다. 모래가 섞이지 않은 참뻘로 유명한 ‘갯벌섬’이면서 벌교 꼬막의 80%가 생산되는 ‘꼬막섬’이기도 하다. 섬 형태가 노루를 닮았다고 해 노루 장(獐)자를 쓰는 ‘노루섬’으로 불리기도 하고, 조선 태종 때 코끼리를 유배보냈다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전해져 ‘코끼리 섬’이라고도 한다.

강진 가우도는 강진만 한가운데 대구면과 도암면을 징검다리처럼 이어져 있다. 거북이 모양이다. 섬과 연결된 유일한 통행로는 사람만 다닐 수 있는 현수교다. 이 현수교는 출렁다리로 유명하다.

이 지사는 “몇 차례 섬을 방문하면서 섬 주민의 고령화와 식수, 모래 유실과 바다 폐기물 처리 문제 등 섬의 현실을 더 자세히 알게 됐다”며 “사업을 좀 더 검증해 추진했더라면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있지만 섬의 가능성도 보였다”고 말했다.

한편 이 지사는 앞으로도 완도 보길도를 비롯한 전남의 섬은 물론 일본 나오시마, 경남 통영 등 국내외 유명 섬 개발 현장을 직접 방문해 ‘가고 싶은 섬’ 구상을 가다듬을 예정이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의견등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