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메뉴 보기

보도자료

HOME > 도정소식 > 보도자료

소통을 통한 창의 도정을 이루겠습니다.

본문 시작

김영록 지사, “유엔 세계 고아의 날 제정 노력”

작성일 2022-10-28 담당부서 여성정책지원관
김영록 지사, “유엔 세계 고아의 날 제정 노력”
-윤학자 여사 탄생 110주년…‘고아없는 세상’ 고인 뜻 기려-
【여성정책지원관 김승희 286-5915, 아동복지팀장 이해경 286-5940】

(윤학자 여사 110주년 기념식 사진 2장 첨부)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28일 목포 공생원에서 열린 윤학자 여사 탄생 11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해 한국 고아의 어머니로 추앙받는 고인의 뜻을 기려 고아 없는 세상을 위한 ‘유엔 세계고아의 날’제정 노력을 다짐했다.

일본인인 윤학자(다우치 치즈코) 여사는 한국으로 건너와 공생원 설립자인 한국인 윤치호 전도사와 1938년 결혼해 목포에서 버려진 아이들을 거두어 키웠다. 1968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30여 년간 3천 명에 이르는 고아를 양육했다.

전남도는 이를 기념해 2016년부터 윤학자 여사의 고향인 일본 고치현과 자매결연을 하고 교류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기념행사 참석을 위해 일본 하마다 세이지 고치현지사와 묘진 다케오 고치현의회 의장을 비롯한 우호대표단 40명이 28일부터 이틀간 전남을 방문했다.

기념행사에는 김영록 전남도지사, 강승규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 추조 카즈오 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장, 하마다 고치현지사 및 일본방문단, 김원이윤주경 국회의원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식전공연과 개회사, 평화메시지 발표, 윤학자 여사 공적 소개 영상, ‘유엔 세계고아의 날 제정 건의문’낭독 순서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한국 고아의 어머니로 추앙받는 윤학자 여사의 뜻을 온전히 담았다.

김영록 지사는 “윤학자 여사님이 공생원에서 몸소 실천하신 고귀한 뜻을 잇고, 여사님의 평생 염원이셨던 ‘고아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유엔 세계 고아의 날’ 제정에도 더욱 힘을 모으겠다”며 “전남도는 여사님께서 맺어준 고치현과의 소중한 인연을 더욱 탄탄히 다지고, 한일 양국의 화해와 평화 시대를 함께 만들겠다”고 말했다.

윤학자 여사는 3천여 명의 고아를 돌본 공로를 인정받아 1963년 일본인 최초로 ‘대한민국문화훈장국민장’을 받았다. 목포시에서는 1965년 ‘제1회 시민의 상’을 수여하고, 1968년 사망 당시 목포시 최초 ‘시민장(市民葬)’으로 장례식을 치렀다.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Q. 현재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십시오. 의견을 수렴하여 빠른 시일 내에 반영하겠습니다.

의견등록

로딩중